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나라 자동차 등록대수 통계 현황 (누적, 신규)

by liveedu(라듀) 2025. 6. 12.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해마다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전체 국민 1.95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한 것으로 통계조사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통계누리에 따라 2024년도 기준 전국 자동차 등록 대수 현황을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자동차 등록대수 현황

  • 누적 등록대수 : 26,297,919대 보유
  • 전년(2023) 대비 증가율 : 1.3% (약 349천대 증가)

결과적으로 2023년 말 기준 25,949,201대에서 2024년 말 기준 26,297,919대로 증가한 수치로 누적 자동차 보유 등록 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전년 대비 신규 등록 차량의 증가율은 점점 둔화 또는 감소하고 있습니다.


시도별 인구 대비 자동차 누적등록 현황

1. 인구 대비 자동차 보유 대수

전국 인구 : 1.9명당 1대 보유
수도권 인구 : 2.3명당 1대 보유
비수도권 인구 : 1.7명당 1대 보유
 ※ 시도별 인구당 자동차 대수 가장 많은 지역 : 제주 인구 0.9명당 1대 보유 (제주도 인구 667,242명)
 ※ 시도별 인구당 자동차 대수 가장 적은 지역 : 서울 인구 2.9명당 1대 보유 (서울시 인구 9,335,734명)

 

2. 시도별 자동차 누적등록 대수

서울 자동차 누적등록 : 3,176,933대
인천 자동차 누적등록 : 1,747,927대
경기 자동차 누적등록 : 6,645,518대
부산 자동차 누적등록 : 1,559,310대
대구 자동차 누적등록 : 1,262,604대
광주 자동차 누적등록 : 730,751대
대전 자동차 누적등록 : 737,012대
울산 자동차 누적등록 : 607,481대
세종 자동차 누적등록 : 202,257대
강원 자동차 누적등록 : 874,655대
충북 자동차 누적등록 : 949,503대
충남 자동차 누적등록 : 1,272,954대
전북 자동차 누적등록 : 1,002,889대
전남 자동차 누적등록 : 1,277,926대
경북 자동차 누적등록 : 1,552,434대
경남 자동차 누적등록 : 1,982,320대
제주 자동차 누적등록 : 715,445대
 ※ 시도별 자동차 대수 가장 많은 지역 : 경기도

 ※ 시도별 자동차 대수 가장 적은 지역 : 세종시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

신규 등록 현황 (2024년)

  • 총 신규 등록대수 : 전국 1,646,998대
  • 친환경 자동차 등록대수 : 663천대 (전체 신규 등록의 40% 비중)
    • 하이브리드 자동차 : 512천대
    • 전기차 : 147천대
    • 수소차 : 4천대

자동차 연료별 누적 등록 현황 (내연기관)

  • 휘발유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 : 12,419,660대 (전년 12,314,186대)
  • 경유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 : 9,100,840대 (전년 9,500,164대)
  • LPG(가스)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 : 1,849,816대 (전년 1,832,535대)
  • 하이브리드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 : 2,024,481대 (전년 1,542,132대) ※ 482,349대 증가
  •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 : 684,244대 (전년 543,900대)
  • 수소차 누적 등록 대수 : 37,930대 (전년 34,258대)

2024 자동차 등록 현황_출처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전기차 누적등록 현황

1. 제조사별 누적 등록 비율

  • 현대 : 39.3%
  • 기아 : 27.8%
  • 테슬라 : 13.6%

2. 국산 vs 수입 전기차 비율

  • 국산 전기차 : 70.9%
  • 수입 전기차 : 29.1%

2024 자동차 등록 현황_출처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1. 하이브리드 자동차 (hybrid electric vehicle) 정의: 가솔린 엔진과 전기 모터를 함께 사용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기관과 전기 모터를 동시에 탑재하여,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배출가스를 줄이는 친환경 차량입니다.

2. 하이브리드 장점

  • 연비 향상 : 전기 모터와 내연기관의 병행 운용으로 연료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 배출가스 감소 : 전기 모터의 사용으로 CO₂ 배출량이 감소되어 환경에 친화적인 차량입니다.
  • 주행 거리 증가 : 배터리 충전 없이도 내연기관만으로 장거리 주행이 가능합니다.

3. 하이브리드 단점

  • 구매 비용 : 연료 효율성을 위해 내연기관과 전기 모터를 모두 탑재하였기 때문에 초기 구매 비용이 많습니다.
  • 정비 비용: 하이브리드의 복잡한 내부 시스템으로 인해 정비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
  • 배터리 교체 비용: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면 다른 차량에 비해 많은 교체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연료 효율성과 환경 친화성을 동시에 고려한 가장 큰 장점의 차량으로, 특히 장거리 운전이 많은 운전자에게 적합합니다.


마무리

2025년 현재 대한민국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자동차 산업에서 내연기관의 경쟁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자동차 산업은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바람직한 미래 대한민국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정책과 전기차 배터리 문제를 포함한 친환경 이슈와 관련하여 자동차 시장의 기술 개발과 단계적 공급이 중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